십신(十神)
명리학에서 십신(十神)이란, 일간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열 가지의 힘을 말한다. 이제부터 정리할 포스팅은 십신을 나누는 방법과 그것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간단히 짚고 넘어가려 한다.
그 전에 알아야 할 것은 음양오행이다. 음양은 뜻 그대로 (-)와 (+) 개념으로 해석하면 편하다. 음기와 양기, 달과 해, 여성과 남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오행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이다.
즉 음양오행은 일주일(월화수목금토일)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그런데 화수목금토가 아니고 왜 목화토금수일까? 이는 오행의 흐름을 파악하면 쉬워진다. 우선 "목-화-토-금-수"를 주문처럼 외우도록 하자.
이 각 오행(5)에 음양(2)이 더해지면 십신(10)이 된다. 사주를 해석할 때는 나의 일간을 기준으로 십신을 해석하는 것이 핵심이다.
오늘은 십신 중 '비겁'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비겁 = 나와 같은 힘, 가장 강한 힘
먼저 비겁이다. 비겁은 비견, 겁재의 줄인 말이다.
비견: 나(일간)와 오행과 음양이 같은 것
겁재: 나와 오행은 같지만 음양은 다른 것
* 내 오행이 갑목이라면, 같은 갑목이 비견이고 을목은 겁재이다.
또 인목이 비견이고 묘목은 겁재이다.
인간관계에서 비겁은 나와 같은 편, 내가 신경쓰는 사람들, 내 주변에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들이다. "친구, 동업자, 라이벌, 형제자매, 선후배, 동료"를 뜻한다. 여자에게는 시댁 식구, 남자에게는 처가 식구이기도 하다.
사주에서 비겁이 강하다면 나와 같은 조건의 사람들(아군 적군 모두)이 내 주변에 포진해 있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형제자매, 동료, 경쟁자와의 관계에 많이 얽힌 삶을 암시한다.
또 나의 영역이 강하다는 의미이므로 주체성과 자기애가 강하고, 자신만의 정신세계가 확고하여 호불호가 명확하다. 자아가 강하기 때문에 남들에게 관심받기 좋아한다.
비겁이 강한 사람들은 특유의 고집이 세다. 누군가의 지배와 간섭을 극도로 싫어한다. 다른 사람을 바라보는 기준이 높기 때문에 사람들이 금방 나가떨어진다.
비겁은 재성을 극하므로 비겁이 강하면 재물(재물, 일, 결과, 남성기준 부인, 아버지)과는 인연이 멀다. 본인의 주체성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배우자운(특히 남자의 경우)이 좋지 않다고 본다. 고집이 너무 강하기 때문이다.
모든 분야에서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지는 자영업, 사업, 운동선수 등이 잘 어울린다.
1. 비견(比肩): 독립, 오만
자기 자신이 탄탄하여 주체성과 독립성이 강하다. 자존심과 고집도 있다. 비견이 많다는 것은 형제자매(동성)로도 보지만 요즘에는 나와 결이 같은 동료로도 본다. 동료와 경쟁자가 항상 포진해 있어 협력에 특화되어 있다.
자기를 누가 규정하거나, 누군가에게 지배 받는 것을 싫어해 남이 자기에 대해 뭐라고 말하던지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주위 사람들이 자기에게 관심이 없는 것도 못 참는다. 관심과 칭찬에 민감하다. 공주병 왕자병이다.
본인의 외형에 관심이 매우 많고 신경을 많이 쓰기 때문에 연예인들 중에도 비견이 있는 사람들이 많다. 결혼한 사람들 중에서도 유난히 몸과 패션에 신경 쓰는 사람들은 비견이 많다.
재성을 극하므로 재물을 모으기보다는 지출하는 것이 많다. 직업에서도 스스로 돈을 관리하는 직업은 위험하다.
감정표현을 숨기지 않으며 자신감이 강하다. 현재의 순간을 즐기는 희망과 낙관이 비견을 이끌어 가는 힘이 된다.
2. 겹재(劫財): 혁명, 허무
비견의 오만과 독립을 넘어 남의 것도 빼앗는 힘이다. 십신 중에서 힘이 가장 세며 동시에 자기 자신을 완전히 망가뜨릴 수 있는 힘이다. 정신적인 균형이 무너지거나 허무감이 느껴지면 극단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 겁재다.
경쟁자가 많아 투쟁성이 강하고 악착같으며 돌파력, 독립성으로 나타난다. 비견에 비해 이성적이고, 경쟁심과 명예욕이 강하게 드러난다. 섬세하고 집념이 강하고, 개척적이다.
겁재가 많다는 것은 비견과 마찬가지로 동료로 보기도 하지만, 동료를 경쟁자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경쟁의식이 겁재를 이끌어 가는 힘이다. 자신 역시 언제든 배신을 할 수 있다.
비견이 주체적으로 재물을 다스리는 힘이라면, 겁재는 빼앗김의 힘을 의미한다. 따라서 겁재가 강하다면 내 것을 노리는 상대방이 존재한다는 의미다.
그런 상황에 자주 놓이기도 하기 때문에 극도의 경쟁심과 투쟁심으로 나타난다. 큰 돈을 벌어도 그만큼 빨리 나간다.
사회적으로는 평판이 좋은 겁재라면, 집에서는 가족들을 힘들게 하는 경우도 있다. 가정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겁재가 강한 여자는 집에서 살림만 하는 것은 지옥이다.
비견과 다르게 감정을 숨기는 것이 특징이다. 모욕을 당했을 때는 표현하기보단 언젠가 되돌려주겠다는 앙갚음을 키운다.
비견과 다르게 현재를 즐기는 힘이 아니라 현재를 쟁취하는 힘이다. 반성과 뉘우침으로 나타난다.
겁재가 제일 싫어하는 게 바로 정재(正財)다.
출처: 명리 기초편(강헌 저), 나의 사주명리(현묘 저)
'자기계발 > 명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리학 독학] 십신 / 인성이 많은 사주 / 편인과 정인 특징 / 부동산, 도장 (0) | 2024.06.01 |
---|---|
[명리학 독학] 십신 / 관성이 많은 사주 / 편관과 정관 특징 / 관운 (0) | 2024.05.16 |
[명리학 독학] 십신 / 재성이 많은 사주 / 편재와 정재 특징 / 재물운 (0) | 2024.05.06 |
[명리학 독학 ③] 십신 / 식상이 많은 사주 / 식신과 상관 특징 (0) | 2024.04.27 |
[명리학 독학 ①] 명리학이란 / 사주명리 / 음양오행 개념, 뜻 (0) | 2024.03.30 |
댓글